728x90
반응형
인간이 세상에 태어난 세 가지 이유, 즉 공덕, 복덕, 선업을 쌓기 위함이라고 강조합니다. 사람들은 흔히 받으려고만 하지만, 사실은 남에게 베풀기 위해 온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특히, 감사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진정한 감사는 긍정적인 상황이 아닌 어려움 속에서 발견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남편의 무능함, 가난, 고난등 불행처럼 보이는 상황에서도 감사할 이유를 찾고, 이를 통해 복을 짓고 덕을 쌓을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감사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1. '감사'에 대한 새로운 정의
- 인간이 세상에 태어난 이유를 복덕, 선업, 공덕을 쌓기 위함이라고 말합니다.
- 사람들은 흔히 받으려고만 하지만, 남에게 베풀기 위해 온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일반적인 감사와 달리, 허경영 총재는 어려움과 고난 속에서 진정한 감사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긍정적인 상황에서 감사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불행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예를 들어, 아들이 대학에 떨어졌을 때 건강하게 살아있는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2. '전도몽상'적 감사의 의미
- '전도몽상'은 앞뒤가 뒤바뀐 꿈을 의미하며, 감사의 대상을 역전시키는 사고방식을 뜻합니다.
- 이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반대로, 어려움 속에서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려움 속에서 감사하는 것은 '설상가상'의 상황을 극복하는 지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 눈으로 덮여 있는 상황에 서리가 덮이는 '설상가상'을 예로 들어, 나쁜 일이 겹치는 상황에서도 감사할 점을 찾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 이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반대로, 어려움 속에서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려움 속에서 감사하는 것은 '설상가상'의 상황을 극복하는 지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 남편의 무능함, 가난, 고난 등 불행처럼 보이는 상황에서도 감사할 이유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돈을 못 벌어오는 남편에게 오히려 감사해야 한다는 역설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3. 감사를 통해 복을 짓는 방법
남에게 감사 인사를 받는 것은 오히려 복을 잃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 "감사합니다"라는 소리를 들으면 복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복을 짓는 기회를 잃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 어려움에 처했을 때 감사하는 마음은 복을 짓는 기회가 된다고 강조합니다.
- 집안이 어렵거나 이사할 돈이 없을 때,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감사를 찾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 타인이 나에게 피해를 줬을 때, 오히려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복을 짓는 방법이라고 제시합니다.
- 남이 자신의 신발을 밟았을 때, 참음으로써 복을 빌어주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4. 현대 사회에 적용 가능한 감사의 자세
- 물질적인 풍요보다 내면의 평화를 추구하는 감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돈이 사람을 죽이고 가정을 파괴할 수 있음을 경고하며, 물질적인 것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경계합니다.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고, 타인에게 베푸는 삶의 가치를 제시합니다.
- 남들은 좋은 집에 살게 해주고 자신은 셋방살이를 하는 것조차 복을 짓는 행위라고 설명합니다.
- 돈이 사람을 죽이고 가정을 파괴할 수 있음을 경고하며, 물질적인 것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경계합니다.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고, 타인에게 베푸는 삶의 가치를 제시합니다.
- 감사를 통해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국민 배당금을 받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 이외의 지나친 욕심은 버려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1. 인간의 존재 이유
- 인간은 세상에 복을 지으러 오기 위해 태어났다. 복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남에게 복을 주기 위해 존재한다.
- 복을 주는 기회를 주기 위해 이 세상에 왔으며, 이를 착각하여 복을 받으려는 경향이 있다.
2. 선업과 공덕
- 인간은 선업을 지으러 오기도 했다. 전생에 쌓은 악업을 덮기 위해 선업을 쌓아야 한다.
- 또한, 공덕을 지으러 세상에 왔으며, 이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덕을 쌓아야 한다.
3. 감사의 잘못된 이해
- 많은 사람들이 감사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 감사는 단순히 받는 것이 아니라, 주고 받는 것이다.
- 감사의 표현이 복을 받는 것으로 연결되면, 복을 지으러 온 본래의 목적이 사라진다.
4. 감사의 진정한 의미
- 진정한 감사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느껴야 한다. 예를 들어, 자녀가 시험에 떨어졌을 때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 감사는 남에게서 듣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에서 우러나와야 한다.
5. 감사의 실천
- 감사는 일상에서 실천해야 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시각을 가져야 한다.
- 감사는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남에게 복을 주는 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
6. 감사의 역설
- 감사는 때로는 부정적인 상황에서 더 큰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가난한 상황에서도 감사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려운 상황을 통해 인생을 배우고, 복을 짓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7. 결론
- 인간은 복을 지으러 온 존재이며, 감사는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사는 단순히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이어야 한다.
728x90
반응형